격양가(擊壤歌) 노래 뜻

지금에나 옛날이나 좋은 정치를 갈구하는 백성의 마음은 같다. 격양가는 땅을 치면서 노래를 한다는 뜻이다. 그러니까 백성들이 행복에 겨워 있는 상태로 완벽한 이상향의 정치를 구가했다는 의미이다. 태평성대가 바로 이런 것이다.


격양가(擊壤歌) 노래 뜻


擊 : 부딪칠 격

壤 : 흙 양

歌 : 노래 가 


격양가(擊壤歌) 노래 뜻



日出而作(일출이작)

日入而息(일입이식)

鑿井而飮(착정이음)

耕田而食(경전이식)

帝力干我何有哉(제력우아하유재)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쉰다.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서 먹으니,

제왕의 힘인들 내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요(堯)나라 때 태평세월을 구가(謳歌)한 노래로 악부(樂府)의 잡요가사(雜謠歌辭) 중의 하나이다. 격양가(擊壤歌)는 ‘땅을 치며 노래한다’는 뜻이며, 이 노래는 요(堯)나라 때 지은 노래라 하나 필경 후세의 위작(僞作)일 것이라는 설이 강하다. 격양(擊壤)이란 원래 나무를 깎아 만든 양(壤)이라는 악기를 친다는 뜻과, 땅(壤)을 친다는 뜻이 있다.

요임금이 천하를 다스린 지 50년이 되었을 때, 과연 천하가 잘 다스려지고 백성들이 즐거운 생활을 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하고자 평민(平民) 차림으로 거리에 나섰다. 넓고 번화한 네거리에 이르렀을 때 아이들이 노래 부르며 놀고 있어 그 노랫소리를 유심히 들었다.


立我烝民(입아증민)

莫匪爾極(막비이극)

不識不知(불식부지)

順帝之則(순제지즉)


우리 백성들을 살게 하는 것은,

그대의 지극함 아닌 것이 없다.

느끼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면서,

임금의 법에 따르고 있다.


뜻은 임금님이 인간의 본성에 따라 백성을 도리에 맞게 인도하기 때문에 백성들은 법이니 정치니 하는 것을 염두에 두거나 배워 알거나 하지 않아도 자연 임금님의 가르침에 따르게 된다는 것으로, 이 노래를 강구가무(康衢歌舞)라고도 한다.

임금은 다시 발길을 옮겼다. 한 노인이 길가에 두 다리를 쭉 뻗고 앉아 한 손으로는 배를 두들기고 또 한 손으로는 땅바닥을 치며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日出而作(일출이작)

日入而息(일입이식)

鑿井而飮(착정이음)

耕田而食(경전이식)

帝力干我何有哉(제력우아하유재)


해가 뜨면 일하고,

해가 지면 쉰다.

우물을 파서 물을 마시고,

밭을 갈아서 먹으니,

제왕의 힘인들 내게 무슨 소용이 있으랴!

 

정치의 고마움을 알게 하는 정치보다는 그것을 전혀 느끼기조차 못하게 하는 정치가 진실로 위대한 정치라는 것을 말한다. 이 노래를 들은 요임금은 크게 만족하여 “과시 태평세월이로구나” 하였다 한다. 그후, 격양가(擊壤歌)란 말은 풍년이 들어 오곡이 풍성하고 민심이 후한 태평시대를 비유하는 말로 전한다.


cOnline.com 



다음 이전